하루하루 업그레이드

728x90

신경림은 1955년 문단에 데뷔한 시인이자 문학인으로 낮달, 갈대, 석상과 같은 시를 발표했습니다. 신경림 농무는 그의 첫 시집에 실려있는 작품이죠. 1955년 데뷔를 했지만 데뷔 후 10년가량 시를 쓰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러다 동료 시인인 김관식 시인에 의해 다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때 발표한 시로 원격지, 산읍기행, 시제, 농무 등이 있습니다. 신경림의 시 여러 편이 초중고 국어나 문학 교과서에 농무와 가난한 사랑 노래, 목계장터와 같은 시가 실려 있어 많은 학생들이 알고 있는 편입니다.

농무가 수록된 첫 번째 시집으로 신경림 시인은 만해문학상을 수상하기도 했어요. 이 시집 속에 실린 시들의 특징은 농민의 삶에 대해 서정성인 짙은 표현으로 한 시들이 많습니다. 이 시집에는 총 40편의 시가 실려 있는데, 전부 농촌의 현실을 표현하고 있는 데 고집스러울 정도로 농촌을 소재로 시를 썼습니다. '민중의 뿌리는 흙에 있고, 농민이 역사를 끌어가는 주인이다'라는 고집스러운 생각을 갖고 있고 그래서 그의 시에는 농민의 애환과 함께 농민의 정이 느껴지는 시가 많습니다. 

신경림 농무

​[대표 시 추천] 신경림​ - 농무, 서정성 짙은 농민의 삶

신경림 농무는 농촌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농악을 소재로 소란스러운 농악과 삶의 적막함을 대비해 한국의 민족 정서가 깔려 있는 농촌의 정서를 잘 표현해서 많은 공감을 얻은 작품입니다.

농무 / 신경림

징이 울린다 막이 내렸다
오동나무에 전등이 매어 달린 가설무대
구경꾼이 돌아가고 난 텅 빈 운동장

우리는 분이 얼룩진 얼굴로

학교 앞 소줏집에 몰려 술을 마신다

답답하고 고달프게 사는 것이 원통하다

꽹과리를 앞 장세 워 장거리로 나서면

따라붙어 악을 쓰는 쪼무래기들뿐

처녀애들은 기름집 담벼락에 붙어 서서

철없이 킬킬대는구나

보름달은 밝아 어떤 녀석은

꺽정이처럼 울부짖고 또 어떤 녀석은

서림이처럼 해해대지만 이까짓

산구석에 처박혀 발버둥 친들 무엇하랴

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 따위야

아예 여편네에게나 맡겨 두고

쇠전을 거쳐 도수장 앞에 와 돌 때

우리는 점점 신명이 난다

한 다리를 들고 날라리를 불거나

고갯짓을 하고 어깨를 흔들거나

첫 구절 '징이 울린다 막이 내렸다'는 청각과 시각적인 심상을 함께 이용하여 농무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해 줍니다. 여기서 막이 내렸다는 건 어떻게 보면 농촌 사회의 막이 내렸다는 의미를 담고 있기도 해요.

 

다음 '오동나무에 전등이 매어 달린 가설무대 / 구경꾼이 돌아가고 난 텅 빈 운동장'은 어느덧 막이 내리고 텅 빈 그리고 쉽게 해체 가능한 가설무대로 허무함을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답답하고 고달프게 사는 것이 원통하다 / 꽹과리를 앞 장세 워 장거리로 나서면 / 따라붙어 악을 쓰는 쪼무래기들뿐'

역설적 표현으로 답답하고 고달픈 삶이 더 와닿습니다. 아직 삶이 무엇인지 모르는 조무래기들은 농무 추는 농민들의 마음과 달리 그냥 재밌어 악을 쓰는 것일 테지요. 그래서 더 애절하게 느껴집니다. 

 

'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 따위야 / 아예 여편네에게나 맡겨 두고'

제일 마음 아픈 구절입니다. 요즘이야 그래도 조금 나아졌다고 하지만 여전히 농촌의 삶은 힘듭니다. 시기가 안 맞으면 1년 농사가 다 물거품이 되어 버릴 때도 많으니까요. 그럴 땐 농촌 일 다 때려치우고 싶은 마음이 들것입니다. 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일 해서 무엇하나 하는 심정을 누가 알 수 있을까요.

 

'쇠전을 거쳐 도수장 앞에 와 돌 때 / 우리는 점점 신명이 난다 / 한 다리를 들고 날라리를 불거나 / 고갯짓을 하고 어깨를 흔들거나'

도수장이 무엇인지 아나요? 바로 도살장을 얘기하는 것입니다. 소나 돼지 같은 것을 도살하는 곳이죠. 이곳에 도착해 더 신명이 난다는 표현은 너무 슬픈 표현입니다. 차마 글로 적을 수 없는 의미가 담겨 있는 것이죠. 비록 가축의 생명이 끝나는 곳이지만 어쩌면 농민의 힘겨운 삶도 끝나길 바라는 것 같아 참으로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 

 

날라리를 부는 것도 어깨춤을 추는 것도 그런 마음을 떨쳐내기 위한 몸부림은 아닐런지...

 

참 가슴 아픈 시입니다. 농민의 애환과 고달픔이 잘 표현된 시입니다. 이 시가 쓰인 지 몇십 년이 지난 지금 농촌의 현실이 많이 좋아졌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추천 : 같이 읽으면 좋은 시

 

728x90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