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 업그레이드

728x90

시(詩)를 잘 몰라도 이육사의 '광야'와 '청포도'는 최소한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겁니다. 오늘은 이 중 '청포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詩) '청포도'는 1939년 8월 호 '문장'지에 처음 실렸습니다. 총 6연으로 작성된 시입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1-3연까지는 청포도가 익어가는 고장을 배경 삼아 서정적으로 표현되었다면, 4-6연에는 청포 입고 찾아오는 손님(광복)을 기다리는 마음을 상징적으로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나라를 잃고 멀리서 고국을 바라보는 시인의 향수를 그리고 나아가 암울한 현실을 극복하여 밝은 미래를 만들고자 하는 염원이 담겨 있습니다.

이육사 - '청포도' 감상하기

광복의 염원을 담은 시(詩) 이육사 - '청포도' 감상하기

     청포도 
                            - 이육사

내 고장 칠월은
청포도가 익어 가는 시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열고
흰 돛 단 배가 곱게 밀려서 오면

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청포를 입고 찾아온다고 했으니

내 그를 맞아 이 포도를 따 먹으면
두 손은 함뿍 적셔도 좋으련

아이야 우리 식탁엔 은쟁반에
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 두렴

 

이육사 - '청포도' 1~3연 : 희망적인 미래에 대한 간절한 염원

내 고장 칠월은
청포도가 익어 가는 시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열고
흰 돛 단 배가 곱게 밀려서 오면

시인은 고향에 대한 향수를 청포도를 매개체로 하여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비록 ‘내 고장’이 일제의 억압과 구속에 갇혀 있지만 그런 억압과 구속에서 벗어나 ‘청포도’가 알알이 익어가듯 생명력과 꿈이 펼쳐져야 할 이상적인 고향이 되길 바라는 마음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모든 만물이 가장 생명력을 키워가는 칠월에 ‘청포도’가 주저리주저리 열리는 모습으로 미래지향적인 희망과 꿈이 커지길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죠. 

여기서 ‘전설’은 신화 속 전설이 아니라 미래(독립)를 예견하는 희망의 의미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즉 ‘청포도’ 알 하나하나 속에 미래에 대한 희망을 심어 그 희망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길 바라는 마음인 것이죠.

이런 표현은 그만큼 당시 상황이 매우 안 좋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힘들고 절망적일 때 오히려 꿈과 희망은 더 간절해지기 마련이죠.

3연은 희망에 대한 암시를 나타냅니다. 광복이 언젠가는 흰 돛 단배가 오든 밀려오길 바라는 마음을 나타냅니다.

 

이육사 - '청포도' 감상하기

 

이육사 - '청포도' 4~6연 : 희망적인 미래에 대한 간절한 염원

​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청포를 입고 찾아온다고 했으니

내 그를 맞아 이 포도를 따 먹으면
두 손은 함뿍 적셔도 좋으련

아이야 우리 식탁엔 은쟁반에
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 두렴

아직은 일제의 억압 속에 ‘고달픈 몸’은 광복을 이루고자 겪는 시련과 고난을 겪는 과정을 몸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즉, 조국의 광복과 희망이 담긴 미래를 이루기 위해선 그만큼 겪어야 할 고난과 시련이 있음을 표현한 것입니다. 그 고달픈 몸이지만 언젠가는 희망의 상징인 ‘청포(푸른 도포)’를 입고 우리에게 찾아올 것이라는 희망찬 미래를 꿈꿉니다.

시인이 기다리는 ‘청포(푸른 도포)를 입고 오는 고달픈 몸의 손님’은 독립운동을 했던 투사들과 억압에 시달리는 민족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두 손 함뿍 적실 정도로 기쁜 마음에 포도를 청포 입은 손님과 같이 따 먹을 수 있다는 건 독립에 대한 갈망이 그만큼 크다는 것이겠죠. 

 

은쟁반과 하이야 모시 수건은 순수한 우리 민족의 앞 날이 밝게 빛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적은 것이라 생각됩니다. 햇빛에 비친 은쟁반이 빛나는 모습은 바로 광복을 나타내는 마음을 가득 담은 표현입니다. 

 

이육사 - '청포도' 감상하기

 

이육사의 '광야'와 '청포도'는 지금 읽어도 정말 좋은 명시입니다. 학창 시절엔 이런 좋은 시를 시험공부 대비해서 분석하며 외우다 보니 그 좋은 감정을 잘 몰랐는 데 지금 이렇게 다시 읽어보니 참 좋은 시라는 것을 새삼 깨닫습니다. 

728x90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